축복은 다른 사람에게 복이 임하게 해달라고 비는 행위와 언어를 말한다.
축복은 어른이나 윗사람이 자녀나 아랫사람에게 복을 비는 것이 통례이다.
"하나님이 축복하시기를"이라고 말할 때 축복이라는 단어보다는
"복 주시기를"이라고 말하는 게 바른 용례이다.
그러나 축복이라는 단어가 고유화되면서 복과 구분 없이 시용되고 있다.
복 가운데 가장 큰 복은 하나님이 주시는 복이다.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이삭에게 복을 주셨고, 그 복은 물질의 복을 넘어
신령한 복을 포괄하고 있다.
위대한 신앙의 사람들은 한결같이 산령한 복을 사모했고 신령한 복이 있는
곳엔 물질의 복도 넘쳤다.
제아무리 엄청난 물질적 부를 소유했더라도 그것을 관리하는 정신적 자산이
모자라면 물질의 복은 당대를 넘기기 어렵다.
복을 베푸시고 거두시는 분은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축도는 축복과는 의미가 다르다.
축도를'benedicere'라고 한다.
좋게(bene), 말하다(dicere)의 라틴어 합성어로 축복하다(benedicere)에서
유래한 말이다.
성경을 보면 왕이나 예언자들 그리고 사도들이 축도로 백성과 교인들을
축복했다.
민수기 6:24~26에 의하면 아론의 축복기도가 기록되어 있다.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의 얼굴을
네게 비추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 주시기를 원하노라."
루터교는 아론의 축도를 그대로 전승해 사용하고 있다.
기록에 따르면 1958년부터 일반 예배 시 목사가 교인들을 축복하는 기도로
사용했다.
한때 축도 끝에 나오는 "있을지어다"와 "축원하옵니다"라는 용어 표현이
대립각을 세우고 충돌했다.
지금도 전자를 사용하는 교단이 있는가 하면 후자를 사용하는 교단도 있다.
교회 전통상 축도는 누구나 할수있는 것이 아니라 목사에게만 축도권이
있다고 믿고 그 전통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축복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축도는 교회가 지켜온 전통을 따르는 것이 옳다.
"나라고 못할 것 없다"는 발상이나 태도는 오만의 산물이 될 수 있다.
사울왕이 사무엘을 대신하여 하나님게 드리는 제사를 집전한 것이 패전의
원인이었음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교만은 패망의 길잡이이다.
'별 두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뱁새와 뻐꾸기 ... (0) | 2014.12.26 |
---|---|
대화법 ... (0) | 2014.10.26 |
이것 또한 다 지나가리라 ... (0) | 2014.02.28 |
상속세와 증여세의 차이 ... (0) | 2014.02.09 |
단풍이 드는 이유 ... (0) | 201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