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정종-태종-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성종-연산군-중종-인종-
명종-선조-광해군-인조-효종-현종-숙종-경종-영조-정조-순조-헌종-
철종-고종-순종
27명이다.
왕의 일생을 평가하여 공이 많다고 여기면 '조'를 붙이고 덕이 많다고 여기면
'종'을 붙여 두글자로 지은것이라는 등, 왕의 이름 뒤에 붙는 '조'와 '종'의
구분은 왕위 계승의 성격에 따라 붙여진 것이다.
선왕으로부터 합법적아고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왕위에 오른 왕은 '종'이 붙고
그렇지 않고 위하도회군으로 개국한 태조나 계유정란으로 왕이된 세조나
인조반정으로 왕위를 뺏은 인조같은 왕은 뒤에 '조'를 붙였다.
즉 '종'은 계승군주에 붙이는 시호요.'조'는 창업군주에 붙이는 시호다.
아버지에게서 아들로 욍위가 물려진 경우에는 '종'이 되고 건너 뛰어서 계통이
바뀐 왕은 '조'를 붙였다.
그리고 재위 중에 폐위되어 종묘에 들어가지 못한 왕은 묘호 없이 군으로 부른다.
(예: 연산군, 광해군)
조선조 임금의 적장자 승계는 사실 명종으로 끝났다고 볼수 있다.
적장자란 정실 왕후 소생의 후계를 뜻한다.
명종 이후에는 정실과 후궁 소생이 번갈아 대를 잇게 되어 혼란해지기
시작하다가
"영조"대에 와서는 드디어 무수리 신분의 여자가 낳은 왕이 나오고 말았다.
조선의 왕통은 사실상 경종으로 끝난 것이나 마찬가지다.
경종은 유명한 장희빈의 소생이다.
경종은 남자 구실을 못하는 병신이었다.
생모의 비참한 최후를 비롯한 궁중의 끔찍한 암투에 정신적인 쇼크를 받아서
불구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비천한 궁녀 출신인 선왕의 아들을 다음 왕으로 앉히는데 이 사람이
영조다.
영조부터 사실상 신하들이 왕을 왕으로 여기지 않았다.
영조의 큰 아들은 어려서 요절했고, 차남이 비극의 주인공 사도세자다.
사도세자는 폐서인이 된 다음에 죽었으니 정조는 정조는 법적 신분으로는
서인의 아들이다.
게다가 다음의 순조도 후궁의 아들이다.
왕의 혈통적 순결함과 신분적 정통성을 상실했고 권세를 안동 김씨가 '종'이나
'조'나 맘대로 갖다 붙였다.
이미 임금이 대접을 못 받았던 관계로 조선 후기의 시호는 변칙이고 예외적인
것으로 봐야 한다.
후대에 내려오면 대가 끊겨서 인척중에서 추대한 경우에도 '종'을 쓴 경우가
여러번 된다.
철종과 고종이 그 대표적이다.
철종의 선왕은 헌종인데 후사가 없어 대가 끊기고 사도세자의 장남
(정조의 배다른 형)
은언군의 손자로 대를 이었다.
고종 역시 마찬가지다.
선왕의 양자로 입적하는 편법을 사용한 듯 한데...
역으로 선왕의 대가 이어졌는데도 '조'를 쓰는 일도 있었다.
예를 들어 정조의 후임인 순조는 정조의 소생이었는데도 '종'을 쓰지 않고
'조'를 썼다.
이것은 어떤 이유인지 아무리 생각해 봐도 설명이 않된다.
덕종(성종의 아버지) 원종(인조의 아버지) 진종(정조의 의붓아버지: 효장세자)
장조(정조의 친아버지: 사도세자) 익종(헌종의 아버지)은 후에 아들이 왕이
되면서 왕으로 추존된 경우다.
조선 왕들의 평균 수명은 47세이며 평균 즉위 연령은 24세이고 평균 재위기간
은 19년 2개월이다.
장남이 왕이된 경우는 일곱분 ( 문종-단종-연산군-인종-헌종-숙종 ) 26%
마지막 왕인 순종은 32년간을 세자(황태자)로 있었다.
최장수 임금은 영조(숙빈 최씨 천민출신)
철종은 강화도에서 농사를 짓다가 왕이 되었으며
태종은 역대왕 가운데 유일한 문과 급제자였다고 한다.
최고령 등극한 왕은 58세에 즉위한 태조 이성계다.
최연소 왕이 된 제24대 헌종은 8세에 즉위하여 재위 15년만인 23세에
사망했다.
최연소 세자가 된 임금은 2세 때 책봉된 순종이고
제2대 정종은 42세에 최고령으로 세자에 책봉되었다.
제12대 인종은 최단기간인 9개월간 왕위에 있었고
(문정왕후가 준 떡을 잘못 먹고 죽었다는 설)
영조는 51년 7개월 동안 왕위에 있었고
단종은 17세에 새조 수양대군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최장수한 영조는 83세에 생을 마쳤답니다.
연산군을 폐위하고 세운 왕은 쿠테타로 즉위 했지만 '조'가 아니라 '종'이
붙었다.
바로 중종이다.
중종은 선왕인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과는 이복형제로서 중간에 연산군이
끼었다가 없어졌지만 대가 성종으로부터 이들인 중종으로 단절됨이 없이
이어졌기 때문에 '중조'가 아니라 '중종'이 된 것이다.
왕은 태어날 때 이름을 갖지 않는다.
왕의 적장자로 태어나면 원자가 되고, 관례를 행하면서 세자로 책봉될 때
이름을 받는다.
중종(진성대군) 재위기간 38년 2개월 부인 10명, 9남11녀
중종의 서5남(숙의 이씨 생) 덕양군 기
장경왕후 윤씨 12대 인종
문정왕후 13대 명종(경원대군)
경빈 박씨 복성군
희빈 홍씨 금원군 봉원군
창빈 안씨 영양군 덕흥대원군(선조아버지 14대 선조)
숙의 홍씨 해안군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 ... (0) | 2014.07.25 |
---|---|
사림파의 선두주자 조광조 ... (0) | 2014.07.06 |
중인문화 ... (0) | 2014.06.28 |
조선의 왕릉 ... (0) | 2014.06.22 |
사화(士禍 )... (0) | 201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