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의 유래를 살펴보면 지금부터 약100여년 전 미국 버지니아주 웹스터
마을에 "안나 자이버스"란 소녀가 어머니와 단란하게 살았는데 불행하게도
어느날 사랑하는 어머니를 여의게 되었다.
소녀는 어머니의 장래를 엄숙히 치르고 산소 주위에 어머니가 평소좋아하시던
카네이션 꽃을 심었다.
항상 어머니를 생전에 잘 모시지 못한것을 후회하였다.
소녀는 어느 모임에 참석하면서 흰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고 나갔다.
보는 사람들이 그 이유를 물었더니
소녀는 대답하기를
"어머니 그리워 어머니 산소에 있는 카네이션과 똑같은 꽃을 달고 나왔다"라고
말했다.
안나는 그후 어머니를 잘 모시는 운동을 벌여 1904년에 시애틀에서 어머니날
행사가 처음 개최 되었다.
그리하여 이날에는 어머님이 살아계신 분은 붉은 카네이션을 가슴에 달아드리고
어머니가 돌아가신 분은 자기 가슴에 흰 카네이션을 달게 되었던 것이다.
그후 미국에서는 1913년 이래 매년 5월 둘째 일요일을 어머니 날로 정하고 점차
전세계적으로 관습화 되었다.
우리나라는 1956년 5월8일을 어머니날로 정하였으며 그뒤 1972년에 명칭을
어버이날로 바꾸었다.
카네이션 꽃말은 사랑과 존경이다.
옛날 로마에 '소크니스'라는 관을 만드는 아름다운 처녀가 있었다.
그녀의 솜씨가 어찌나 뛰어나든지 다른 사람과는 비교도 안되었다.
때문에 '소크니스'는 늘 사람들의 부러움과 시기를 받았다.
그러던 어느날 그녀를 시기한 동업자들은 끝내 그녀를 암살하고 말았다.
그러나 아폴론 신은 그의 신단을 항상 아름답게 꾸며주던 그녀를 불쌍히
여겨 그녀를 작고 붉은 꽃으로 변하게 했는데 그 꽃이 바로 '카네이션'
이다.
부모에 대한 효성은 서양 사람들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더욱 돈독하였었다.
우리 조상들은 부모님에 대한 효성을 행동의 근본으로 삼았고 부모님을
위해서라면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해내었었다.부모님은 자녀들을 위하여 추우나 더우나 모든 괴로움을
무릅쓰고 길러주시고
항상 걱정 하신다.그러나 자식들은 이러한 부모님의 마음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효도란?
다름아닌 부모님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드리는 것이다.
부모님께 걱정 끼쳐 드리지 않고 할일을 열심히 하는 것이다.
"어버이 살아실제 섬기기란 다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닮다.
어이하리 평생에 고쳐 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이 시조는 조선시대 정철 선생께서 지으신 것으로써 부모님 생전에 효도를
다해야지.
돌아가신 후에 애닮다 후해해야 소용 없으니 살아계신 동안에 잘 섬겨야
한다는 말씀이다.
어버이를 가까이 모시고 있는 자녀들은 이제라도 늦지 않으니 부모님을
위로해 드리고 효도하는데 온깆 정성을 기울려 보도록 노력해야 할것이다.
'가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령이 가난한 사람 다윗... (0) | 2010.07.02 |
---|---|
마카리오스의 복... (0) | 2010.07.02 |
칭찬... (0) | 2010.05.18 |
어머니 은혜~양주동 작사!!! (0) | 2010.05.16 |
효도~축복 받는 비결... (0) | 201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