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적가리였으면 하던 '노적봉'
목표 유달산 아래에 높이가 60m쯤 되는 바위 '노적봉' 이 있다.
이순신 장군이 어마어마한 양의 군량미처럼 보아도록 위장해 왜군들의
사기를 꺽었다.
노적봉은 북한산 백운대 옆에도 있고 설악산에도 있으며, 전국에 많다.
대부분 암봉이어서 암벽 타는 분들의 사랑을 받는다.
노적(露積)은 곡식 따위를 한데에 수북이 쌓는다는 말이다.
밖에 쌓아둔 곡식 더미를 '노적가리'라고 한다.
露는 이슬을 이르는 굴자인데, 밖에 두면 이슬을 맞는다는 뜻이서인지
노출(露出). 노친(露天)처럼 '한데'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이즈음은 식량이 동나고 햇곡식은 아직 익지 않아 궁핍함을 겪는
춘궁기였는데, 옛사람들은 바위산을 보며 '노적가리 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것이다.
노적봉엔 이런 아픈 사연이 젖어 있다.
아래는 조선 중기 문신 최경창의 전가(田家)라는 제목의 시이다.
밥 달라 보체는 철없는 아이들 성화에 풋보리 바심을 한다.
보리가 익을 때쯤은 남은 게 얼마 안 된다.
가불해서 먹었기 때문이다.
형편이 나은 집 보리밭은 바람에 일렁이는데...
'집에 남은 양식이 없어/ 매일 풋보리를 베어오네//
하도 베어다 먹어 얼마 안 남았는데/
이웃 밭은 아직 수확을 하지 않았네'
(田家無宿糧 日日積新麥 積多麥已盡 東隣猶未穫.
전가무숙량 일일적신맥 적다맥이진 동린유미확).
'가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밥... (0) | 2016.05.28 |
---|---|
상처 받지 않는 방법 ... (0) | 2015.10.31 |
부부는 이런 거란다 ... (0) | 2014.10.07 |
엘 샤다이 ... (0) | 2014.06.02 |
트라우마 ... (0) | 2014.05.08 |